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대중
제호(잡지명)
  • 한글별건곤 9권 2호
  • 한문別乾坤 9卷 2號
  • 기타別乾坤 讀物特輯號
발행자
  • 인쇄인李學仲
  • 인쇄인 주소京城府 慶雲洞 88番地
  • 편집 겸 발행인車相瓚
  • 편집 겸 발행인 주소京城府 慶雲洞 88番地
출판사
開闢社 개벽사
발행지
京城府 慶雲洞 88番地
인쇄소
朝鮮印刷株式會社 조선인쇄주식회사
인쇄지
京城府 蓬萊町 3丁目 62
창간일
1926년 11월 1일
간행일
1934년 2월 1일
인쇄일
1934년 1월 28일
권호
9권 2호
통권
70호
간별
월간
형태
  • 면수64page
가격

목차

수감록(기3)(隨感錄(其三)), 이중과세의 폐해(二重過歲의 弊害) _ 박승빈(朴勝彬)
국제정국동향(國際政局動向) _ 김형준(金亨俊)
미국불 평가절하(米國弗平價切下)!!, 이것은 무슨 말인가 _ 신태익(申泰翊)
조선미통제문제(朝鮮米統制問題)!!, 무슨 까닭에 생기나 _ 신태익(申泰翊)
사고
4000년 사외사(史外史) _ 수춘산인 차상찬(壽春山人 車相瓚)
조선각도의 별칭(朝鮮各道의 別稱)
삼한시대열국(三韓時代列國) _ 수춘인(壽春人)
눈속에 파뭇친 설화(雪禍)의 울릉도비사(鬱陵島秘史) _ 취운생(翠雲生)
별건곤 통계실(別乾坤統計室) 2 _ X·Y·Z
과학신화(科學新話), 바람의 힘으로 움즉이는 『로-타-』의 이야기, 발전계(發電界)의 일대혁명(一大革命) _ A기자(記者), B기자(記者), C기자(記者)
신문에 안낸 이야기, 신문기자수첩비기(新聞記者手帖秘記), 여선생(女先生)의 비밀공개(秘密公開), 사실비화(事實秘話)(1) _ 강촌생(江村生)
신문에 안낸 이야기, 신문기자수첩비기(新聞記者手帖秘記), 친모(親母)가 시모(媤母)된 이야기, 사실비화(事實秘話)(2) _ 류도순(劉道順)
신문에 안낸 이야기, 신문기자수첩비기(新聞記者手帖秘記), 여학생(女學生) 의문(疑問)의 죽엄, 사실비화(事實秘話)(3) _ 고영한(高永翰)
축쇄 사회면(縮刷 社會面) _ B기자(記者)
지방독자(地方讀者)께 _ 편집부백(編輯部白)
조선극단(朝鮮劇團)의 지붕밋 _ 박영호(朴英鎬)
호외(號外)의 호외(號外)
이문기화집(異聞奇話集)
만화경(萬華鏡)
입학시험(入學試驗)과 어머니 주의(注意) _ 미소(微笑)
주부수첩(主婦手帖) _ B기자
여성독본(女性讀本), 월경(月經)과 식욕(食慾) _ A박사(博士)
남자를 마음대로 부리는 여성(女性)의 천국(天國), 최근(最近) 아불리가(亞弗利加)에서 발견(發見)
영화(映畵)
장편동화(長篇童畵), 아련의 모험(冒險) _ 연성흠(延星欽)
우체통과 거지 _ 윤석중(尹石重)
과학(科學), 떡과 밥은 엇더케 다른가 _ 삼산인(三山人)
요지경
염복질주기(艶福疾走記)(만담(漫談)) _ 금릉인(金陵人)
유모어 소설(小說), 뚱뚱보 여선생(女先生)의 실연(失戀) _ 이아부(李啞夫)
유-모어 장편(掌篇), 전화 4471번(電話 四四七一番) _ 최공원(崔公瑗)(문서(文書))
제1회 당선 유행소곡(第一回 當選 流行小曲)
(만문(漫文)) 희화(戱畵) _ 신경순(申敬淳)
비련애곡(悲戀哀曲)(2) _ 박상엽(朴祥燁)
약혼녀의 악마성(約婚女의 惡魔性) _ 최류범(崔流帆)
독자구락부(讀者俱樂部)
남은 잉크

해제

1926년에 개벽사에서 취미와 가벼운 읽을거리를 위해 창간한 월간 잡지.
언론잡지인 『개벽(開闢)』의 뒤를 이어 개벽사에서 월간으로 창간했다. 취미 잡지라고는 하지만 그 창간호 여언(餘言)에, 취미라고 무책임한 독물(讀物)만을 늘어놓는다든지, 혹은 방탕한 오락물만을 기사로 쓴다든지 하는 등 비열한 정서를 조장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취미는 할 수 있는 대로 박멸하기 위해서 ‘우리는 이 취미잡지를 시작하였다.’라고 해, 그 발간의 취지를 밝히고 있다.
그 증거로 「조선 자랑호」(3권 2호), 한용운(韓龍雲)·이상협(李相協) 등의 「생활개선안」(통권 16·17호)·「교육계·독서계·문단·공업계·종교계 등의 최근 10년간의 변천」(5권 1호), 언론계 등 각계의 인사들의 「조선은 어디로 가나?」라는 글 등이 실렸는데 이러한 글로써 이 잡지가 단순한 취미 잡지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창간 초기에는 A5판 150면 내외였으나, 6권 3호(1931.3.1)부터 B5판 30여 면의 잡지로 변했다. 1934년 7월 1일에 9권 6호, 통권 74호로 종간되었다.(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