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 구분
- 잡지 > 대중
- 제호(잡지명)
-
- 한글별건곤 6권 11호
- 한문別乾坤 6卷 11號
- 기타別乾坤 十二月號
- 발행자
-
- 인쇄인田畯成
- 인쇄인 주소京城府 慶雲洞 88番地
- 편집 겸 발행인車相瓚
- 편집 겸 발행인 주소京城府 慶雲洞 88番地
- 출판사
- 開闢社 개벽사
- 발행지
- 京城府 慶雲洞 88番地
- 인쇄소
- 朝鮮印刷株式會社 조선인쇄주식회사
- 인쇄지
- 京城府 蓬萊町 3ノ62番地
- 창간일
- 1926년 11월 1일
- 간행일
- 1931년 12월 1일
- 인쇄일
- 1931년 11월 28일
- 권호
- 6권 11호
- 통권
- 46호
- 간별
- 월간
- 형태
-
- 면수38page
- 가격
-
목차
가장 영니한 사람
1931년(一九三一年) 세계대세(世界大勢)의 총결산(總決算) _ 박사청(朴士淸)
사회상식강좌(社會常識講座), 조선(朝鮮)의 농촌(農村)은 왜 부진(不振)하나 _ 한양학인(漢陽學人)
영국(英國)은 왜 금본위정지(金本位停止)를 하얏나 _ 이학중(李學仲)
문맹퇴치안(文盲退治案) _ 주요섭
사회사정(社會事情)과 학생사상(學生思想)을 드러서 중등학교선생(中等學校先生)님께 소(訴)함, 감히 이 몃가지를 여러분께 뭇습니다 _ 신형철(申瑩澈)
세계기록돌파(世界記錄突破)한 마라손 선수(選手) 김은배군(金恩培君) _ 오수산(吳壽山)
문단풍문(文壇風聞)
사설검사국대탐사록(私設檢事局大探査錄), 신간경지회관(新幹京支會館)은 엇지 되엿나 _ 정태철(鄭泰哲)
만화경(萬華鏡)
중국(中國)의 명재판(名裁判)이야기, 범죄실화(犯罪實話) 8편(八篇) _ 임봉주(任鳳珠)
사원지상망년회(社員誌上忘年會)
무게나가는 세찬 _ KK생(生)
세모풍경(歲暮風景)
노래하는 사형수(死刑囚) _ 양상호(楊相浩)
결혼풍경(結婚風景), 조선청년(朝鮮靑年)에게 구혼(求婚)하는 로국처녀(露國處女) _ 김(金)나콜라이
호외(號外)의 호외(號外)
온돌(溫突)방 야화(夜話) _ 춘파(春坡)
편집여묵(編輯餘墨)
세계인육시장광무곡(世界人肉市場狂舞曲), 내가 혼난 남양미인(南洋美人) _ 정(鄭)EC
세계인육시장광무곡(世界人肉市場狂舞曲), 미국인육시장견문담(米國人肉市場見聞談) _ O.T.S
세계인육시장광무곡(世界人肉市場狂舞曲), 파리(巴里)의 에로 만화경(萬華鏡) _ 성북동인(城北洞人)
세계인육시장광무곡(世界人肉市場狂舞曲), 해삼위의 목욕탕(沐浴湯) _ 원(元)SH
세계인육시장광무곡(世界人肉市場狂舞曲), 중국(中國)의 에로그로 _ 오인호(吳仁浩)
만주사변(滿洲事變)에 활약(活躍)하는 인물(人物)
해제
1926년에 개벽사에서 취미와 가벼운 읽을거리를 위해 창간한 월간 잡지.
언론잡지인 『개벽(開闢)』의 뒤를 이어 개벽사에서 월간으로 창간했다. 취미 잡지라고는 하지만 그 창간호 여언(餘言)에, 취미라고 무책임한 독물(讀物)만을 늘어놓는다든지, 혹은 방탕한 오락물만을 기사로 쓴다든지 하는 등 비열한 정서를 조장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취미는 할 수 있는 대로 박멸하기 위해서 ‘우리는 이 취미잡지를 시작하였다.’라고 해, 그 발간의 취지를 밝히고 있다.
그 증거로 「조선 자랑호」(3권 2호), 한용운(韓龍雲)·이상협(李相協) 등의 「생활개선안」(통권 16·17호)·「교육계·독서계·문단·공업계·종교계 등의 최근 10년간의 변천」(5권 1호), 언론계 등 각계의 인사들의 「조선은 어디로 가나?」라는 글 등이 실렸는데 이러한 글로써 이 잡지가 단순한 취미 잡지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창간 초기에는 A5판 150면 내외였으나, 6권 3호(1931.3.1)부터 B5판 30여 면의 잡지로 변했다. 1934년 7월 1일에 9권 6호, 통권 74호로 종간되었다.(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