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대중
제호(잡지명)
  • 한글별건곤 6권 10호
  • 한문別乾坤 6卷 10號
  • 기타別乾坤 十一月號 創刊第5周年記念號
발행자
  • 인쇄인田畯成
  • 인쇄인 주소京城府 慶雲洞 88番地
  • 편집 겸 발행인車相瓚
  • 편집 겸 발행인 주소京城府 慶雲洞 88番地
출판사
開闢社 개벽사
발행지
京城府 慶雲洞 88番地
창간일
1926년 11월 1일
간행일
1931년 11월 1일
인쇄일
1931년 10월 30일
권호
6권 10호
통권
45호
간별
월간
형태
  • 면수38page
가격

목차

5년전을 회고(回顧)하면서
일중사변(日中事變)과 만몽독립운동(滿蒙獨立運動) _ 김광우(金光宇)
국제연맹(國際聯盟)이란 무엇인가, 이번 일중충돌사변(日中衡突事變)에도 출마(出馬) _ 신식(申湜)
일중충돌사변(日中衝突事變)의 후문(後聞) _ 박사청(朴士淸)
중국(中國)을 운전(運轉)하는 두목(頭目)가는 인물(人物)들
본지(本誌)에 대한 희망(希望)·비평(批評)·감상(感想)
쌀갑슨 어째서 오르고 나리는가, 농민상식강좌(農民常識講座) _ ㅅㅊ생(生)
추수기(秋收記)를 마즌 향촌부형(鄕村父兄)을 대신하야, 농촌사정(農村事情)을 학생제군(學生諸君)에게 소(訴)함, 아들아! 딸아! 우리의 사정을 아느냐 모르느냐 _ 신형철(申瑩澈)
학생제군(學生諸君)에 기탄(忌憚)업는 투고(投稿)
수학여행 시비(修學旅行 是非), 과연 소득이 잇느냐 업느냐 _ 주요섭
극장(劇場) 홍진곡(紅唇曲), 여배우(女俳優)들의 이 모양 저 모양 _ 이서구(李瑞求)
경성시내(京城市內) 양(兩) 백화점(百貨店)의 인상(印象), 화신상회(和信商會)와 동아부인상회(東亞婦人商會)
사설검사국 대탐사록(私設檢事局 大探査錄), 조선교육협회(朝鮮敎育協會)는 무엇을 하는가? _ 류동한(柳東漢)
문단풍문(文壇風聞)
노처녀전람회(제2회)(老處女展覽會)(第2回), 주최(主催) 총각당(總角黨), 후원(後援) 불혼동맹 (不婚同盟)
학계만화(學界漫話)
북평(北平)서 당(當)한 나체침입(裸體侵入) _ M.K.생(生)
스파이 비화(秘話), 독일황제(獨逸皇帝) 카이젤을 속여 넘긴 여밀정(女密偵), -세계대전 정지(世界大戰 停止)의 이면사裏面史- _ 소천호(蘇天浩)
호외(號外)의 호외(號外)
만화경(萬華鏡)
모르는 남자(男子)에게 바든 편지, 생각지도 안흔 사람에게 이런 편지
벌거숭이의 주장(主張) _ 오수산(吳壽山)
오행여묵(五行餘墨)

해제

1926년에 개벽사에서 취미와 가벼운 읽을거리를 위해 창간한 월간 잡지.
언론잡지인 『개벽(開闢)』의 뒤를 이어 개벽사에서 월간으로 창간했다. 취미 잡지라고는 하지만 그 창간호 여언(餘言)에, 취미라고 무책임한 독물(讀物)만을 늘어놓는다든지, 혹은 방탕한 오락물만을 기사로 쓴다든지 하는 등 비열한 정서를 조장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취미는 할 수 있는 대로 박멸하기 위해서 ‘우리는 이 취미잡지를 시작하였다.’라고 해, 그 발간의 취지를 밝히고 있다.
그 증거로 「조선 자랑호」(3권 2호), 한용운(韓龍雲)·이상협(李相協) 등의 「생활개선안」(통권 16·17호)·「교육계·독서계·문단·공업계·종교계 등의 최근 10년간의 변천」(5권 1호), 언론계 등 각계의 인사들의 「조선은 어디로 가나?」라는 글 등이 실렸는데 이러한 글로써 이 잡지가 단순한 취미 잡지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창간 초기에는 A5판 150면 내외였으나, 6권 3호(1931.3.1)부터 B5판 30여 면의 잡지로 변했다. 1934년 7월 1일에 9권 6호, 통권 74호로 종간되었다.(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