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대중
제호(잡지명)
  • 한글별건곤 6권 5호
  • 한문別乾坤 6卷 5號
  • 기타別乾坤 五月號
발행자
  • 인쇄인田畯成
  • 인쇄인 주소京城府 慶雲洞 88番地
  • 편집 겸 발행인車相瓚
  • 편집 겸 발행인 주소京城府 慶雲洞 88番地
출판사
開闢社 개벽사
발행지
京城府 慶雲洞 88番地
인쇄소
朝鮮印刷株式會社 조선인쇄주식회사
인쇄지
京城府 蓬萊町 3ノ62番地
창간일
1926년 11월 1일
간행일
1931년 5월 1일
인쇄일
1931년 4월 25일
권호
6권 5호
통권
40호
간별
월간
형태
  • 면수34page
가격

목차

새나라로! _ 이광수 작사(李光洙 作詞)
금일(今日)의 문제(問題), 지방자치제(地方自治制) 이야기 _ 김세성(金世成)
만인필독(萬人必讀)의 당면(當面)한 경제상식(經濟常識) 제3과(第三課)!!, 참혹하게 떠러진 고치갑, 금년춘견(春繭)은 일원팔십전 _ 서춘(徐椿)
형평사(衡平社)의 해소운동(解消運動)은 어떠케 되엿는가. _ 권승덕(權承德)
만화경(萬華鏡)
핑핑 도라가는 세계대세(世界大勢)이야기 _ 한양학인(漢陽學人)
경성(京城) 모모학교(某某學校) 사무실(事務室)에서 생긴 입학시험(入學試驗) 부정행위(不正行爲) _ 험구생(險口生)
통계실(統計室)
조선(朝鮮)이 나흔 세계적(世界的) 대권투가(大拳鬪家), 황을수씨(黃乙秀氏)
그 여자(女子)들은 웨 철도자살(鐵道自殺)을 하엿나?, 홍(洪)·김(金) 양여자(兩女子), 영등포철도자살사건(永登浦鐵道自殺事件) 후문(後聞) _ 복면아(覆面兒)
부부독본(夫婦讀本), 신가정(新家庭) 결혼생활(結婚生活)의 대경전(大經典) _ 노신랑(老新郞)
만화(漫畵), 결혼 전과 결혼 후
여학생을 탈내는 일곱 가지의 대함정 _ 무명초(無名草)
문제(問題)의 문제(問題), 아해를 만히 낫치 말자 _ 김광석(金光錫)
내용모를 회(會)의 내용조사(內容調査) _ 탐보생(探報生)
백화난만(百花爛熳)
편집후기(編輯後記)
최승희양(崔承喜孃) 프로 예술가(藝術家)와 결혼(結婚) 장래(將來)론 프로 무용(舞踊)에 정진(精進)
본사(本社) 여기자(女記者)의 불량신사 검거록(不良紳士 檢擧錄)
특별독물(特別讀物) 대괴기실화(大怪奇實話)÷ 처녀귀(處女鬼)! 처녀귀(處女鬼)! _ 삼산인(三山人)

해제

1926년에 개벽사에서 취미와 가벼운 읽을거리를 위해 창간한 월간 잡지.
언론잡지인 『개벽(開闢)』의 뒤를 이어 개벽사에서 월간으로 창간했다. 취미 잡지라고는 하지만 그 창간호 여언(餘言)에, 취미라고 무책임한 독물(讀物)만을 늘어놓는다든지, 혹은 방탕한 오락물만을 기사로 쓴다든지 하는 등 비열한 정서를 조장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취미는 할 수 있는 대로 박멸하기 위해서 ‘우리는 이 취미잡지를 시작하였다.’라고 해, 그 발간의 취지를 밝히고 있다.
그 증거로 「조선 자랑호」(3권 2호), 한용운(韓龍雲)·이상협(李相協) 등의 「생활개선안」(통권 16·17호)·「교육계·독서계·문단·공업계·종교계 등의 최근 10년간의 변천」(5권 1호), 언론계 등 각계의 인사들의 「조선은 어디로 가나?」라는 글 등이 실렸는데 이러한 글로써 이 잡지가 단순한 취미 잡지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창간 초기에는 A5판 150면 내외였으나, 6권 3호(1931.3.1)부터 B5판 30여 면의 잡지로 변했다. 1934년 7월 1일에 9권 6호, 통권 74호로 종간되었다.(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