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대중
제호(잡지명)
  • 한글별건곤 창간호
  • 한문別乾坤 創刊號
발행자
  • 인쇄인閔泳純
  • 인쇄인 주소京城府 淸水町 8番地
  • 편집 겸 발행인李乙
  • 편집 겸 발행인 주소京城府 慶雲洞 88番地
출판사
開闢社 개벽사
발행지
京城府 慶雲洞 88番地
인쇄소
大東印刷株式會社 대동인쇄주식회사
인쇄지
京城府 公平洞 55番地
창간일
1926년 11월 1일
간행일
1926년 11월 1일
인쇄일
1926년 10월 15일
권호
1권 1호
통권
1호
간별
월간
형태
  • 면수150page
가격
  • 기타送料2

목차

박선생(朴先生) _ 이기영(李箕永)
지구흑점(地球黑點)의 노래(1925작) _ 상화(尙火)
철야(徹夜) _ 회월(懷月)
시조(詩調)
세계적 명작 팔십만년 후의 사회, 현대인의 미래사회를 여행하는 과학적 대발견(世界的 名作 八十萬年後의 社會, 現代人의 未來社會를 旅行하는 科學的大發見) _ 웰스 원작(原作), 영주(影洲) 번역
비하팔촌(鼻下八寸)
부인운동자(婦人運動者)와 회견기(會見記) _ 이익상(李益相)
빈취미증 만성의 조선인(貧趣味症慢性의 朝鮮人) _ 벽타(碧朶)
대우주와(大宇宙)와 취미(趣味) _ 야뢰(夜雷)
신추잡필(新秋雜筆) _ 팔봉(八峰)
양행중 잡관잡감(洋行中 雜觀雜感) _ 정석태(鄭錫泰)
세계음악명곡해설(世界音樂名曲解說) _ 이락춘(李樂春) 찬(撰)
일충일언(一蟲一言)
자유결혼식장순례기(自由結婚式場巡禮記)(一), 포복절도(抱腹絶倒)할 결혼 형식(結婚 形式)의 각양각색(各樣各色) _ 웻딍테블생(生)
명사의 유족방문기(1)(名士의 遺族訪問記)(其一), 조선어연구(朝鮮語硏究)에 일생진췌(一生盡瘁)한 주시경선생(周時經先生)의 유족(遺族)을 찻고 _ 일기자(一記者)
사고(社告)-개벽사 강릉지사 복설(開闢社江陵支復設)
통계실(統計室)
전기 만고정충 임경업장군(傳記 萬古精忠 林慶業將軍) _ 차상찬(車相瓚)
김옥균선생(金玉均先生)의 배노리 _ 김진구(金振九)
대화 암실앵가, 『여론』사 편집실의 일일생활기(對話 暗室鶯歌, 『輿論』社 編輯室의 一日生活記) _ 속기자(速記者)
사랑의 마호멧트 _ DTY
해양중(海洋中)에 잇는 인어(人魚)는 미녀(美女)인가 동물(動物)인가?, 아름다운 전설(傳說)에서 자미잇는 과학(科學)으로 _ 김창해(金滄海)
제비의 여행(旅行)과 기럭이의 문안(問安) _ 반송작(盤松雀)
신변잡사(잡필)(身邊雜事)(雜筆), 동경행(東京行) _ 최승일(崔承一)
주왕산탐승기(周王山探勝記) _ 정현모(鄭顯模)
여언(餘言)

해제

1926년에 개벽사에서 취미와 가벼운 읽을거리를 위해 창간한 월간 잡지.
언론잡지인 『개벽(開闢)』의 뒤를 이어 개벽사에서 월간으로 창간했다. 취미 잡지라고는 하지만 그 창간호 여언(餘言)에, 취미라고 무책임한 독물(讀物)만을 늘어놓는다든지, 혹은 방탕한 오락물만을 기사로 쓴다든지 하는 등 비열한 정서를 조장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취미는 할 수 있는 대로 박멸하기 위해서 ‘우리는 이 취미잡지를 시작하였다.’라고 해, 그 발간의 취지를 밝히고 있다.
그 증거로 「조선 자랑호」(3권 2호), 한용운(韓龍雲)·이상협(李相協) 등의 「생활개선안」(통권 16·17호)·「교육계·독서계·문단·공업계·종교계 등의 최근 10년간의 변천」(5권 1호), 언론계 등 각계의 인사들의 「조선은 어디로 가나?」라는 글 등이 실렸는데 이러한 글로써 이 잡지가 단순한 취미 잡지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창간 초기에는 A5판 150면 내외였으나, 6권 3호(1931.3.1)부터 B5판 30여 면의 잡지로 변했다. 1934년 7월 1일에 9권 6호, 통권 74호로 종간되었다.(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