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종합지
제호(잡지명)
  • 한글신천지 5권 3호
  • 한문
  • 국한문新天地 第5卷 第3號
  • 기타新天地 三月號 신천지 3월호
발행자
  • 발행인金晋燮
  • 인쇄인尹孝炳
  • 편집 겸 발행인朴鐘和
출판사
서울新聞社 서울신문사
발행지
서울市 太平路1街 31
인쇄소
서울신문社印刷局 서울신문사인쇄국
인쇄지
서울市 中區 太平路1街 31
창간일
1946년 1월 15일
간행일
1950년 3월 1일
인쇄일
1950년 2월 15일
권호
5권 3호
통권
44호
간별
월간
형태
  • 면수254page
가격
  • 정가300원

목차

한국 의회정치(韓國議會政治)의 재음미(再吟味) _ 정일형(鄭一亨)
의회 효용론(議會 効用論) _ 김영걸(金榮杰)
귀속재산(歸屬財産)에 대(對)한 법적 과제(法的 課題) _ 홍진기(洪璡基)
일본 배상문제(日本賠償問題)는 어찌되었나 _ 조셒·리레이
3·1운동(運動) 당시(當時)의 회고(回顧)(3·1운동기념 특집(3·1運動紀念 特輯)) _ 오세창(吳世昌)
3·1운동(運動) 발발(勃發)의 개략(槪略)(3·1운동기념 특집(3·1運動紀念 特輯)) _ 현상윤(玄相允)
3·1운동(運動)과 약소민족(弱少民族)의 각오(覺悟)(3·1운동기념 특집(3·1運動紀念 特輯)) _ 이선근(李瑄根)
3·1정신(精神)의 재인식(再認識) 재출발(再出發)(3·1운동기념 특집(3·1運動紀念 特輯)) _ 이관구(李寬求)
3·1운동(運動) 당시(當時)의 회고(回顧)(3·1운동기념 특집(3·1運動紀念 特輯)) _ 이병도(李丙燾)
3·1운동(運動) 당시(當時)의 회고(回顧)(3·1운동기념 특집(3·1運動紀念 特輯)) _ 김도태(金道泰)
화전간두(和戰竿頭)에 선 미국 정책(美國政策) _ 버너드·바럭
전후(戰後) 미국 외교(美國 外交)의 길 _ 제임즈·번즈
국회의원(國會議員)의 변(辯) _ 최국현(崔國鉉)
선전방법(宣傳方法)의 제원칙(諸原則)(상(上)) _ 서임수(徐壬壽)
미곡문제(米穀問題)에 대(對)하여(민생지표(民生指標)) _배성룡(裵成龍)
교통문제(交通問題)에 대(對)하여(민생지표(民生指標)) _ 김석길(金錫吉)
산업문제(産業問題)에 대(對)하여(민생지표(民生指標)) _ 이동욱(李東旭)
문학(文學)과 비문학(非文學)·기타(其他) _ 홍효민(洪曉民)
기자생활(記者生活) 20년기(年記) _ 신경순(申敬淳)
국립극장 설치(國立劇場設置)와 연극 육성(演劇育成)에 대(對)한 방책(方策)(문화지표(文化指標)) _ 유치진(柳致眞)
국립극장 설치(國立劇場設置)와 연극 육성(演劇育成)에 대(對)한 방책(方策)(문화지표(文化指標)) _ 박진(朴珍)
현대미술관 설립(現代美術舘設立)에 대(對)하여(문화지표(文化指標)) _ 김환기(金煥基)
화봉관(火鳳觀)-어원기(語源記)(4) _ 허영호(許永鎬)
전후 세계체제론(戰後 世界體制論) _ 신도성(愼道晟)
장혁주(張赫宙)의 재일 선인(在日 鮮人) 비판(批判)을 반박(反駁)함 _ 조석제(趙石濟)
애연지(愛煙誌) _ 서천순(徐千淳)
명정 40년(酩酊 40年) 무류실태기(無類失態記)(6) _ 수주(樹洲)
고시단상(考試短想)(수상록(隨想錄)) _ 배은희(裵恩希)
불감유감(不感有感) _ 김광주(金光洲)
젊은 모던이스트에게 _ 장만영(張萬榮)
오태산 기행(五台山 紀行) _ 이홍식(李弘植)
문화(文化)의 보급(普及) _ 한흑구(韓黑鷗)
초한유감(楚漢有感) _ 홍영의(洪永義)
미주 별견기(美洲瞥見記)(4) _ 고희동(高羲東)
모자 _ 황순원(黃順元)
바다의 침묵(沈黙)(하(下)) _ 베르꼬르, 안응렬(安應烈) 역(譯)
이슬 _ 박목월(朴木月)
독(毒) _ 이한직(李漢稷)
하늘 _ 김춘수(金春洙)
장미 _ 이종산(李鍾山)
도하(都下) 각대학 순례기(各大學巡禮記)(국학대학 편(國學大學 篇)) _ 심악(心岳)
가두소견(街頭小見) _ 송병돈(宋秉敦)
<설문(設問)>(문화지표(文化指標)) 사교(社交)댄스의 유행(流行)은 억압(抑壓)할 것인가? _ 이헌구(李軒求) 외(外) 8인(人)